지상에서 우주까지...
책상 위의 차고

Flight Simulator/FS 강좌

[스크랩] 자작 TRACK-IR 제작과정#1

이오리 2007. 10. 20. 00:30

안녕하세요.

자작 TRACK-IR에 많은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글을 쓸만큼 실력도 있는것도 아닌데 주제넘게 함 올려보겠습니다.

많은분들이 저처럼 성공하셔서 즐거운 플심생활을 하시는게 저의 작은 바램입니다.

밑에 그림들중에는 다른곳에서 퍼온것도 있으니 양해바랍니다.꾸벅

 

그럼 일단 준비물은

1. 고휘도 LED (흰색) : 저는 흰색으로 했습니다..빨간색으로 해도 될꺼 같습니다.

2. 저항 (80~100옴) : 감압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3. 코팅된 옷걸이 : 집에서 가장 많이 쓰는 옷걸이입니다.굵은 철사로 하셔도 됩니다.

4. USB연장케이블 : USB전원을 쓰기위함입니다. 못쓰는 USB케이블짤라서 써도됩니다.

5. UTP CABLE : 전선 대용으로 썼습니다. 가느다란 전선 8가닥이 필요합니다.

6. 인두,납,절연테이프,수축튜브,순간접착제

7. 웹캠 : 저는 Microsoft LifeCam VX-3000를 사용,일반CMOS웹캠도 될꺼 같네요

대충 이정도 필요하네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첨부터 찍어야하는데 다 만들고 찍으니 재료가 별루 없네요..^^

프로그램은 나중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골격을 만들어야겠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옷걸이를 펴서 위의 사이즈대로 자르고 붙이면 됩니다.넘 쉽게 얘기했나요?^^

(타이로묶고 순간접착제 바르니 단단하게 붙네요)

옷걸이가 코팅이돼있어 혹시나 모를 쇼트에 대비가돼니 좋더군요.

그담은 LED와 저항의 연결입니다.

송신부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얘기하겠습니다.

다른 싸이트를 보면 밧데리로 하시는분들도 계신데 저는

USB에 있는 전원을 끌어다 쓰기로했습니다.

usb는 5v가 나오며 고휘도led는 3.3v를 사용하므로 5v를 바로 연결하면 led가 버티지 못하고 타버립니다. 이때문에 저항으로 감압을 시켜줘야 합니다. 꼭 82옴을 쓸 필요없이 80에서 100 사이의 저항을 사용하면 됩니다. 저항연결은 꼭 +쪽에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쪽을 많이 이용합니다.

이제 led들을 연결하면서 합선이 안되게 수축튜브들을 이용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리가 긴쪽이 +, 짧은 쪽이 -. 또는 LED 머리 안을 들여다 보아 두꺼운 도끼 모양이 - , 얇은 쪽이 +

사진이 흐리게 나왔네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을 보면 대출 납땜해서 붙였는데 연결하기 전에 테스트하려고 붙인것입니다.

긴다리들을 잘라서 납떔해서 수축튜브러 깔끔히 마무리하면 됩니다.

한가지 힌트 : UTP케이블선을 쓰면 좋은게 4쌍의 선이 들어가 있도 선마다 색깔로 구분이

되어있어서 나중에 헷갈리지 않고 +,- 선을 연결할수있습니다.^^a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안쓰는 USB케이블 절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전원선인 빨간색(+)선과 검은색(-)선만 남기고 제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수축튜브를 미리 끼워 놓아 나중에 깔끔히 잘업을 할수 있게 한다.
위의 사진(남의꺼 도용-_-a)처럼 못쓰는 USB 케이블은 잘라서

도면에 있는 위치에 LED고정하고 선을 빼서 +는 +끼리 -는-끼리 연결하면

송신부는 끝이납니다.

밑에 사진이 완성된 사진인데 참 허접하네요..^^a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단 여기까지는 송신부까지의 제작입니다.

담은 가장 핵심인 FREE TRACK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밑에 사진은 FREE TRACK 2.0입니다.

TIP : 첨에 깔때 에러가나서 고생했는데 제어판에 가서 언어를 영어로 바꾸고 재부팅

그러니 제대로 깔리네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오른쪽 밑에 있는 Microsoft LifeCam VX-3000 부분을 자신의 웹캠으로 바꿔주세요.

가장 중요한것이 그 옆에 있는 아이콘 2개입니다.

1. CAMERA SETTING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CAMERA SETTINGS 버튼을 누루면 위의 사진이 나옵니다.

위의 값은 저의 세팅값입니다 참고하세요. 노출값을 거의 0 으로 하고 세팅을 하면 훨씬 수월합니다.

2. STREAM SETTING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건 손대지마시고요 출력크기가 320*240인데 160*120을 하면 저같은 경우는 프레임이 잘나오고

훨씬 부드럽게 돌아가더군요..참고하세요.^^

 

그럼 START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붉은 빨간점이 선명하게 4개가 나와야 제대로된 세팅입니다.오른쪽 아래의

녹색이 4개가 들어와야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수신이 약하거나 노이즈가 끼면 녹색이 아닌 빨간색으로 변합니다.집마다 환경이 틀리니 자신에 맞게 세티하셔서 노이즈가 안낀 선명한 붉은점들이 보이게해주세요. 한가지 세팅을 빼먹었네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메뉴에서 SETUP을 누르고 4POINTS CAP을 선택 도면에 나와있는 수치를

입력합니다. 가끔 수치가 입력이 안돼는경우가 있는데 메모장을 열고 수치르 적은다음

복사 붙이기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a

게임을 시작하기전에 center를 맞쳐놓고 시작하면 됩니다.

테스트 영상입니다.

 

 

위 동영상처럼 나오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것입니다..

일단 여기까지 하셨으면 마지막 고개만 넘으면 됩니다.

 

다음장에 계속...........^^a



출처 :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글쓴이 : 임근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