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서 우주까지...
책상 위의 차고

Flight Simulator/FS 강좌

[스크랩] 플심 뉴비를 위한 길라잡이[링크 네비게이션]

이오리 2010. 6. 28. 00:01

강좌랄 것도 없지만.. 나름 뉴비한테 도움될만한 글들을 정리해 모아봤습니다.

저도 아직 배우는 마당에 이런걸 올려도 되나모르겠지만.. 그래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X 기준으로 말씀 드립니다.

제 생각엔 2004보단 X가 뉴비한테 더 편할 것 같네요, 사양만 된다면..

 

한가지 주의 할 건 플심은 시뮬레이터 입니다.

절대 하루, 일주일 안에 되는 간단한 게임이 아니니 천천히, 꾸준히 끈기를 가지고 배우셔야됩니다.

또한

http://www.acealpha.com/

http://koreafs.net/ver6/page/index/

위 두사이트 처럼 다음 동호회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도 좋은 글이 많습니다 스스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NAVIGATION- 

 

1. 먼저 가장 기초적인 항공역학을 배웁니다.

 

비행기가 뜨는 이유 by niceoya 콜럼버스님 스크랩

다 읽었으면

비행 기초 이론 by 유승현님

요걸 읽습니다, 다만 조금 어려운 내용은 넘기고 구조와 조종성에 관해서만 눈여겨 봅니다.

 

2. 유승현님의 FSX 튜토리얼 - 동시에 미션을 병행하면 훨씬 좋습니다.

 

이 글은 시리즈로 제작되었습니다 1~6편까지 모두 읽습니다.

장주 비행에 관련해서는

Ohmamori님의 장주비행 설명글  이 글을 보면 더 이해가 쉬우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위 시리즈를 보면서

Flight Simulator 용어 정리집 v.1 by 김성수님
플심에 쓰이는 간단한 용어정리 by 승철님

이 두글을 통해서 기본적인 용어와

FS2004 기본 필수 조작키 by 유승현님

이 글로 플심 조작키를 간단히 익힙니다.

 

TIP: 거리단위에서 마일을 얘기하면 이건 nm - 즉 노티컬 마일입니다 nm 은 또한 해리입니다.

 

주의 - PMDG, ILS등은 아직 모르는게 당연합니다, 너무 많은 걸 한꺼번에 배우려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연습하세요.

일단 세스나, 브라보 같은 경비행기로 장주를 마스터하는게 먼저입니다.(헬기나 여객기같은건 나중에...)

 

3. 이제 계기 비행을 좀 배워봅시다

 

계기비행 강좌 튜토리얼 by 박석권님

이 시리즈를 보면서 기본 개념과 사용법을 익힙니다.

 

http://www.luizmonteiro.com/Learning_VOR_Sim.aspx

http://blog.dcman.net/226

위 두글은 항법장치 시뮬레이터입니다, 이리 저리 만져보세요

 

이제 NDB, VOR, ADF, ILS가 뭔지 대충 아실 겁니다.

배운 걸 최대한 이용해서 VOR 비행과 ILS 착륙을 연습해보세요.

세스나로 수동&자동 착륙 -ILS착륙 by 나노님 << 이 글이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특히 ILS는 확실히 개념 잡힐 때까지 다른 글들 뒤져보며 수많은 연습을 하셔야합니다.

 

TIP: 이쯤에서 간단하게 알아야할 활주로 이름..

RWY L 06 - RWY=Runway=활주로 L=Left=왼쪽 06=060 - 헤딩

저 헤딩은 완벽한게 아닙니다, 대략 그렇다는 거죠.. 06 - 60 방향 32 - 320방향 뭐 이런 식입니다.

 

TIP: 포테틱 코드에 관해.. 심심하면 읽어보세요 ㅋ

알면 요긴하다! 포네틱 코드! by 네이버 Flight with us의 ol런저런i님 << 이건 네이버 동호회카페입니다.

 

4. 다음으로 GPS와 오토파일럿, IFR에 관해 알아야합니다.

 

지금까지는 모두 직접 눈으로 보며 일일이 계기를 확인하면서 수동비행을 했다면 이제부턴 오토 파일럿 위주의 IFR을 배울 때입니다.

 

플심 GPS를 이용한 IFR 절차비행 by SecretID님 - 시리즈

GPS 한글 상세설명서 입니다. by Kestrel님

이 두 글이 GPS를 배우는데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오토파일럿을 배워야하는데.. 경비행기로 오토파일럿을 설명하는 글은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이제 jet 비행기를 날려야하는데..

그래도 그전에 무니 브라보로 미리 AP 기능을 이리 저리 만져보며 익숙해지기를 권장합니다.

 

이제 올것이 왔습니다..  경비행기 좀 날릴 줄 안다고 까불거리던 당신 -ㅅ-;;

드디어 제트 비행기의 조종간을 잡는 것입니다..

 

김포~대구 쉽게 VFR비행하기 차근차근 쉽게쉽게 by 이홍기님

디폴트기를 이용한 IFR 비행과 자동비행 by 박영준님

민항기 초급비행: 내비게이터 없이 항로짜 자동 순항하기!! by 안광석님

민항기 중급비행 : FMC 없이 정확한 하강시점 잡아내고 완벽히 착륙하기. by 안광석님
IFR 비행 강좌 by tmdngs님 - 시리즈

IFR로 이륙부터 착륙까지 완전정복!(김해intl -> 대구 Aero) by 강민님 - 시리즈

 

 

그저.. 반복 밖에 답이 없습니다;

보고 보고 또 보고, 뜨고 뜨고 또 뜨는 사이에 조금씩 익숙해지면서 이해가 될겁니다.

 

GPS와 ILS를 같이 써봅시다.

 

GPS설정으로 자동 비행하기 by 나노님

GPS와ILS 합쳐서 랜딩을 해보았습니다.. by JSM님

GPS를 활용한 넷플정복 by 김종석님

 

5. 자, 잠깐 숨좀 돌리고(?) Chart와 하강, 아크턴에 관해 배워봅시다.

 

차트 강좌 by 박권석님 - 시리즈

 

차트 다운 필수 북마크 사이트

 

http://www.navdata.at/ - 해외

http://ubikais.fois.go.kr/lynay/html/gen_index.html - 국내 (Map/charts 메뉴에 인루트가 AD 메뉴에 각 공항별 SID,STAR,APP 차트등이 있습니다.)

저도 아직까지 초본지라 제가 필요한 차트는 이 사이트에 대부분 다 있더군요.

 

3: 1 공식

 

3 대 1 접근이란 랜딩을 위한 하강시에 보편적으로 쓰이는 하강 적정 거리 계산 공식이다.
3:1 공식에선 고도 1000피트를 하강하기 위해선 3마일이 필요하다고 정의 하며 강하율 vs-1800을 써야한다.

ex) 2만 피트에서 0피트까지 하강하려면
- 20000/1000 * 3 = 60마일
즉, 목표 지점에서 60마일 떨어진 곳에서 vs-1800으로 강하를 시작한다. 라고.. 간단히 설명하는 글도 있지만..

하강(Descent) 거리, 하강율 및 하강율 계수에 대한 고찰.

Re:vert(하강속도) 질문드립니다. - fpm - feet per minute -  분당 피트 변화량 이란걸 모르진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 두 글을 읽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개념원리 아크턴(Arc Turn) by piano000님

이건.. 사실 저도 굉장히 많이 헤맸습니다만.. 그래도 몇번 반복해 읽고 시도해다 보면 아! 하고 깨달음이 옵니다.. ㅋㅋ

 

6. 종합 IFR

 

계기비행 TUTORIAL RKTN - RKSS by 박권석님

이제 이 시리즈를 통해 배운걸 십분 활용해봅시다.

 

여기까지 잘 따라오셔서 이해하셨다면 이제는 스스로 뭘 더 배워야할지 알 겁니다.

저도 쓰면서 많이 배웠네요 ㅋ

정말 중요한건 자신의 배우려는 열정과 스스로 뒤져보는(?) 정신입니다.

출처 :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글쓴이 : 김석인(On-Air)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