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유령회원 입니다.
그림도 없이 길기만 길고 재미도 없는 글 많이많이 보아주시니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일주일 동안 잘 지내셨나요?
이번 주엔 지역 모임이 생겼네요. 회원분들의 친목에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카페지기님 고맙습니다~

미리 말씀드립니다. 제가 올리는 Effect 들은 FS 사용자 여러분들이 만드시고 Add-On 사이트에 올리신 것을 소개 드리는 겁니다.
정말 놀랄만큼 멋있고
감격에 겨울 정도로 만족스러운 것은 잘 없습니다. 다만 열심히 만드셨고 저는 고마운 마음으로 쓰고 있고 그걸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는 겁니다. 싫으시면 과감하게 '뒤로'를 눌러 가시던 길 가셔도 됩니다.

일단 보시더라도 기대는 너무 크게 하지 말아 주세요. 그리고 자동 설치가 아니라서 시간도 많이 걸리고 힘듭니다. 정보 수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제 기술력으론 자동 설치로 바꿀 수 없네요. 또 기체 모델마다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제가 모든 걸 설명드리기 힘듭니다. 결과적으로 상황에 따라 여러분들의 상당한 수고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영어가 아니라서 못 알아 들으시겠지만 제작자 모든 분들 다시 한 번 고맙습니다.
물론 국내 많은 제작자 분들도 고맙습니다
얘기가 길어졌네요. 오늘은 와류(소용돌이) 효과 를 만들어 보아요.
먼저 뭔지는 알고 만들던지 말던지 해야겠죠?
소용돌이란 아시는 대로 빙빙 도는 것이죠. 세수하고 난 뒤 마개를 빼면 물이 빙빙 돌면서 빠지는 것 같이 비행기에서도 이런 일이 생겨요. 비행기 화장실 마개를 빼면 일어나냐고요? 아니죠.
비행기는 공기를 가르면서 날아가는데 갈라진 공기는 날개 뒤에서 다시 만나겠죠? 그런데 두 공기가 날개 끝에서 만나면서 회전을 하게 돼요. 빙빙 돌다 보면 공기 가운데가 진공에 가깝게 되고 그 때 공기 속에 있는 수증기가 얼어 작은 얼음이 되는데 우리 눈에는 날개 끝에서 하얀 연기가 나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랍니다. 그리고 착륙하려고 Flap을 펼쳤을 때에도 Aileron과의 틈 사이를 따르게 빠져나오는 수증기가 얼어 눈에 보이기도 해요.(습도에 따라 안 보일때도 있어요)
보기엔 멋있지만 Vortex가 생기게 되면 비행기를 뒤에서 당기는 것 같이 되어 앞으로 나가려면 힘이 더 들게 되고 기름을 더 많이 먹게 돼요. 그래서 이걸 줄이기 위해 Wing Let 같은 걸 달게 되는 거죠. (간혹 가다 윙렛을 장착한 차량도 보게 되는데 비행기와 역할이 약간 달라요) 자세한 내용은 EX018(이세웅) 님께서 쓰신 기초지식, 플심소개 란 67번 글을 참고하세요~
공부 끝!! 그럼 오늘도 시작해 볼까요?
오늘은 Avsim까지 갈 필요 없이 이 글 제일 끝에 있으니까 여기서 내려받으시면 돼요.
음 웬 친절? 왠지 모르게 불안한 걸
아무튼 지금 내려 받으시고 다 받으셨으면 다음 단계로 갑니다~
내려받으신 fx_WingVortex.fx 파일을 FS를 설치하신 폴더 안에 있는 Effects 폴더에 살포시 넣어 주세요.
그럼 파일 옮기기도 끝~
자, 이제 싫고도 싫은 정보 수정의 시간이예요.
아까 파일을 내려 받으러 가시면서 눈치 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오늘은 글이 좀 짧죠? 기종 선택도 별로 안 보이고
장난하냐? 그럼 지금까지 이 글 왜 봤는데
죄송합니다. 그래도 지금부터 설명해 드릴게요.
※정보수정 하시기 전 백업을 해두셔야 나중에 복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aircraft.cfg의 [SMOKESYSTEM] 을 수정할 거예요. 그 전에 먼저 [GeneralEngineData]를 봐 주세요. 여긴 엔진 위치가 적혀 있어요. 이걸 이용하셔야 되요.
[GeneralEngineData]
engine_type= 1
Engine.0= -24.739, -9.151, 1.372
Engine.1= -24.739, 9.151, 1.372
fuel_flow_scalar= 1.000
min_throttle_limit=-0.349915
[SMOKESYSTEM]
smoke.0= 0, -24.739, -9.151, fx_WingVortex
smoke.1= 0, -24.739, 9.151, fx_WingVortex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있을 때 그냥 편하게 smoke.X= ㄱ, ㄴ, ㄷ, ㄹ 이라고 할게요.
X 에는 0부터 시작해서 겹치지만 않으면 아무 수자나 적으셔도 돼요.
ㄱ, ㄴ, ㄷ 은 효과가 발생하는 위치를 적으셔야 해요.
ㄱ 은 비행기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위치를 지정한 것 같고
ㄴ 은 비행기 앞에서 뒤로 가면서 위치를 정한 것 같고
ㄷ 은 비행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면서 정한 것 같아요.
ㄹ 에는 Effect 효과 파일 이름에서 확장자를 빼고 적으시면 돼요.
smoke 는 엔진 뒤쪽에서 생기고 Vortex 날개 끝에서 생기니까 아랫 글(no.2)에서 기종을 찾으셔서 숫자를 조금씩 바꾸시면서 맞는 위치를 찾으셔야 되겠어요.
죄송해요. 꼭 찾아서 고쳐 올릴게요.

다음은 Kalva에 있는 기체들인데 어느 회사의 모델인지는 모르겠네요. 아래에 있는 줄을 복사하셔서 원하시는 기종 폴더 안에 있는 aircraft.cfg 파일 [SMOKESYSTEM]에 붙여 넣어 주세요. X에는 다음 숫자 넣는 것 이젠 다 아시죠?
Boeing 737-800
smoke.X= 0, -19.00, -58.00, fx_WingVortex
smoke.X= 0, -19.00, 58.00, fx_WingVortex
Boeing 747-200F / 300B / 300SF / 400 / 400F
smoke.X=0, -127.167, -86.167, fx_WingVortex
smoke.X=0, -127.167, 86.167, fx_WingVortex
smoke.X=0, -105.917, -39.167, fx_WingVortex
smoke.X=0, -105.917, 39.167, fx_WingVortex
작동하실 때에는 I (아이) 를 누르시면 돼요.
반드시 기종에 맞는 수치를 찾아 고쳐 올리겠습니다. 즐거운 비행하세요.
죄송합니다.
출처 :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메모 : 오늘은 aircraft.cfg의 [SMOKESYSTEM] 을 수정할 거예요.
그전에 [Light] 란에서 light.4 = 2, -13.00, -58.80, 4.65, B738_STROBE 처럼 2가 있는 줄을 찾으세요.
그러면 3줄이 있을텐데 자세히 보시면 두 줄은 숫자가 비슷하고 한 줄만 다를 거예요.
수치가 비슷한 두 줄을 복사하셔서 [SMOKESYSTEM] 에 붙여넣으세요.
이제 정보를 수정할게요. 일단 light 다음에 4 라고 되어 있는 것을 *로 고치고 2라고 적힌 것은 지우세요.
그 다음에 있는 3개의 수치가 효과가 발생할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예요. -13.00, -58.80, 4.65, 이라고 되어있는 것을 4.65, -13.00, -58.80, 로 순서를 바꾸고 가운데 있는 숫자에서 3정도 빼세요. 그럼 4.65, -16.00, -58.80, 이 되겠죠.
이번엔 Effect 파일을 적을 거예요. B738_STROBE 라고 된 부분을 fx_WingVortex 로 고치세요.
아까 *로 바꾼 곳에는 숫자 넣는 것 이젠 다 아시죠?
그냥 이렇게만 하면 헷갈리니까 Kalva에 있는 기체들을 수정한 상태를 보여드릴게요. 근데 어느 회사의 모델인지는 모르겠네요.